중국 반도체 제조사, 생산력 강화 박차···미국 추가제재 대비
상태바
중국 반도체 제조사, 생산력 강화 박차···미국 추가제재 대비
  • 이상석 기자
  • 승인 2024.06.21 10:00
  • 댓글 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먹튀 사이트=이상석 기자]중국 반도체 제조사들이 미국의 추가 제재에 대한 우려 속에서 생산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들의 올해 웨이퍼(반도체 제조용 실리콘판) 생산 역량이 15% 늘어나 월간 890만개, 내년에는 14% 더 늘어나 110만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세계 평균 성장세인 각각 6%와 7%를 한참 넘어서는 것이라고 SEMI는 밝혔다.

그 결과로 중국이 내년에 글로벌 전체 웨이퍼 생산 역량의 약 30%를 차지할 것이라고 협회는 전망했다.

SEMI는 중국 반도체 제조기술이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타이완 TSMC나 삼성전자에 뒤지지만 자동차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레거시(구형) 반도체 수요에 부응하고자 파운드리 생산력 증강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부분적으로 미국의 수출 통제에 따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SMIC와 화훙먹튀 주소를 비롯해 넥스칩, SiEn, 창신테크놀로지 등 모두가 생산력 확장에 나섰다고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트의 보리스 메토디에브는 최근 온라인 세미나에서 "중국 제조사들이 지난해 반도체 제조 장비를 사재기해놓았다"며 "중국에서 전례 없는 수요는 웨이퍼 공장 장비 판매가 사상 최고를 기록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반도체 웨이퍼 공장 장비 판매는 전세계적으로는 1% 신장했지만중국에서는 48% 폭증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해당 방정식에서 중국을 배제하면 중국 외 다른 모든 지역에서는 실제로 판매가 15%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분석가들은 중국의 계속되는 반도체 생산력 강화 계획이 향후 2년간 생산 과잉을 초래, 글로벌 시장에서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과거 중국은 필요한 반도체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했지만 미국의 제재가 이어지고 반도체 자립에 힘을 쏟아부으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지난해 중국은 전년보다 10.8% 줄어든 4천795억개의 집적회로(IC)를 수입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SMIC와 YMTC 같은 중국 파운드리 업체가 최대 혜택을 받고 있다.

SMIC에 이은 중국 제2의 파운드리 기업으로 성숙 공정 반도체에 집중하는 화훙반도체는 공장 가동률이 최대치에 이르렀고 하반기에는 가격을 10%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고 미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지난주 보고서에서 전망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도 지난 19일 보고서에서 높은 수요 덕에 중국 파운드리 업체들의 일부 생산 라인이 이미 전면 가동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4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도투자글로벌먹튀 주소기업 2024-06-26 08:50:54
기업 투자내용
자료:각기업
마이크론(미국) 먹튀 주소 후공정 (조립테스트) 시설 27억달러투자
마이크로칩 (미국)인도R&D 센터 3억달러투자
AMD(미국)먹튀 주소디자인센터 신축5년간 4억달러투자
어플라이티드 얼리언즈( 미국) 엔지니어링센터 구축4년간4억달러투자
램리서치 (미국) 10년간엔지니어링 6만명양산 먹튀 주소훈련프로그램진행
디스코(일본)반도체장비지원센터건설예정
폭스콘(대만)인도광산업체 베단타 반도체 공장건설 195억달러 투자철회

인도반도체 산업육성전략 2024-06-26 08:41:33
1차 인센티브제도 2차인센티브투자
먹튀 주소인도프로그램 인도먹튀 주소조직신설
7천600루피(약12조원)규모
제조시설 중앙정부30-50%
지방정부10-25%보조금지원
먹튀 주소 R&D 제품개발 교육2.5% 보조금지원
100억달러(13조원)규모
조지설 중앙정부50%보조금지원
지방정20%보조금지원

화위연구개발투자 (R&D) 2024-06-26 08:32:40
10년 누적연구개발비
2023년연구개발비 매출차지비율
전체직원가운데 연구원비율
화위보유특허
1조1100억원 (212조원)
23.4% (1647억원)
55% (11만4000명)
14만건
자료=화위연례보고서

주요분야 세계정상화위 2024-06-26 08:29:11
통신장비 폴드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모바일운영체제
2023년점유율 31% 삼성전자6% 1분기점유율 35% 삼성전자23%
1분기점유율 10% 애플21% 삼성전자9% 9억대
세계1위 세계2위세계3위
자료=옴디아 카운터포인터 리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