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랙트 인수로 데이터센터 진출 길 열려
일찌감치 나선 LG전자, 가시적 성과 거두기도

[먹튀 사이트=박대웅 기자]삼성전자가 약 2조4000억원을 투입해 유럽 최대 냉난방공조(HVAC) 업체인 독일 플랙트그룹(FläktGroup·이하 플랙트)을 인수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영국계 사모펀드 브라이튼으로부터 플랙트의 지분 100%를 15억유로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2017년 미국 전장·오디오 기업 하만을 약 80억 달러에 사들인 이후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은 "공조 사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보다 앞서 LG전자도 일찌감치 냉난방공조 먹튀 검증 사이트의 가능성을 내다보고 먹튀 검증 사이트에 진출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냉각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공조 산업이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향후 성장 가능성도 높다고 내다본다.
실제로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츠는 냉난방공조 시장 규모가 2024년 3016억달러(약 425조원)에서 오는 2034년 5454억달러(약 770조원)로 두 배 가량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AI 인프라 시장 노리는 삼성전자
플랙트는 1918년 설립된 기업으로 전 세계 65개국의 가정과 사무실, 학교, 병원과 첨단 시설에 중앙 공조 제품 및 설루션을 공급해 온 업체다.
삼성전자는 그간 가정용 및 상업 시설 위주로 공조 사업을 진행해왔지만 AI열풍에 따라 AI 후방산업인 인프라 투자의 일환으로 HVAC 사업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번 인수로 삼성전자는데이터센터 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게 됐다.
데이터센터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데이터센터에서 냉각과 공조는 가장 중요한 시스템이다. 고성능 서버가 24시간 가동되면 막대한 열을 방출하는데 이를 식히지 않으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얼마나 적은 에너지로 효율적인 냉각을 제공하느냐가 데이터센터의 성능을 가르는 척도가 된다.
플랙트는 냉각액을 순환해 서버를 냉각하는 액체 냉각 방식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냉각 효율 기술을 갖고 있다는 평을 받는다.
삼성전자는 "생성형 AI, 로봇, 자율주행, 확장현실(XR) 등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플랙트를 전격 인수했다"고 밝혔다.

속속 성과 내는 LG전자
LG전자는 일찌감치 HVAC 시장에 진출하며 사업에 공을 들여왔다. 2023년부터 미국과 중국, 유럽의 주요 대학과 손잡고 HVAC 연구 조직을 만들어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지난해 말엔 HVAC 사업을 기존 H&A사업본부에서 분리해 ES사업본부를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이런 노력 끝에 LG전자는 지난해 5월 북미 AI데이터센터에 5만 냉동톤 규모의 칠러(Chiller·중앙공조 냉각시스템) 공급 계약을 따내는 등 가시적 성과도 내고 있다. 또 지난달엔 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에 HVAC 공급 계약을 맺기도 했다.
ES사업본부의 올해 1분기 매출은 1년 전과 비교해 18% 늘어난 3조544억원, 영업이익은 21.2% 증가한 4067억원을 기록했다. LG전자 호실적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LG전자는 2011년 LS엠트론 공조사업부를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냉난방공조 먹튀 검증 사이트에 뛰어들었다. 국내 먹튀 검증 사이트 평정 후 최대 종합공조기업으로 자리매김한 뒤 세계 먹튀 검증 사이트 공략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HVAC 시장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함형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일찌감치 AI 기술 개발 과정에서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냉각 설루션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공기 냉각은 외부 온도의 영향과 서버 밀집도에 따라 한계가 있기에 새로운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액체 냉각' 분야와 관련한 기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먹튀 검증 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